본문 바로가기
논문작성법[完]

논문작성법 - 3. 실험계획 세우기2

by Gothesis 2020. 8. 21.
반응형

관련 유튜브 : 고논채널

 

BioGothesis

과학 논문은 어떻게 쓰는 것인가? 과학 논문을 쓰는 방법을 한번씩 체험해보는 채널입니다 ---------------------------------------------------------------------------------------------------------------------------------------

www.youtube.com

 

2. 사전조사

여러가지 행정적 작업들이 끝나고... 드디어 입금이 되었다.

과제 카드에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돈이 입금되었고, 집행이 시작된다고 한다. 이 돈으로 과제를 진행해 보자.

어떤 것부터 진행을 해야 할까?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위 알려준 과제를 만들기 위해 매우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것들 말고도 우리는 많은 것들을 조사해야만 한다.

그리고 어떤 것을 조사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 실험 계획을 작성해야만 한다.

우리는 어떤 실험을 해야 할까?

우리는 화랑곡나방과 곰팡이를 이산화염소 가스로 억제하는 실험을 진행하려고 한다.

? 우리 무슨 곰팡이 쓰기로 한 거지?

이제 시작인가?!?!?

첫번째 찾아야 할 것이 나왔다. 우리는 곡물에 독소를 축적하는 곰팡이를 억제해야 한다.

곡물에 저장 중 독소를 축적하는 대표적인 곰팡이를 찾도록 하자.

곤충은 화랑곡 나방으로 하기로 했으니.. ? 화랑곡 나방은 어떻게 키우는 지 아무도 모른다.

화랑곡 나방의 사육 방법을 논문에서 찾도록 하자. (우리도 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 이제 곰팡이와 화랑곡 나방이 준비되었다. 그런데, 가스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 방법을 논문에서 찾도록 하자.

여기까지 하고 나면 우리가 필요한 곰팡이, 곤충, 가스가 완료되었다.

물론 곰팡이 키우는 방법을 찾지 않았지만, 곰팡이를 찾으면서 논문에 키우는 내용도 들어 있었을 것이다.

끝이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어떻게 실험을 진행해야 할까?

우리는 최적 처리 농도와 최적 처리 시간을 찾아야 한다.

여기서 최적이라 함은 곤충과 곰팡이는 피해를 받아 억제가 되지만 곡물에는 피해가 안가는 농도와 시간을 말한다.

또한 곡물에 잔존하는 ClO2 잔존량이나 그 분해 산물이 안전 기준치 농도보다 적은지도 확인해야 한다.

최종적으로는 실제 크기의 창고에서 가스를 처리했을 때 우리가 생각한 만큼의 방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해야만 한다. 해야 할 일이 산더미다. 각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료를 찾아보도록 하자. 앞에서 제시한 3가지를 포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을 15가지를 논문에서 찾도록 하자. 논문 하나에서 여러 자료를 찾을 수도 있고, 하나당 하나의 자료를 찾을 수도 있지만,

 

이제부터 찾아보자!

우리는 연습을 하는 것이므로 일단 15개의 논문을 찾도록 한다.

앞서 배운 방법을 이용해 15개의 관련 논문을 찾아 보자!

 

논문작성법에 대해서/ 책추천

논문작성법 - 들어가며

논문작성법 - 1. 논문이란?

논문작성법 - 1-1. 논문의 구성?

논문작성법 - 1-2. 논문을 쓰는 이유/ 1-3. 1저자의 요건/1-4. 과제

논문작성법 - 2. 논문을 찾는 방법 - 구글 스칼라 이용

논문작성법 - 2. 논문을 찾는 방법 - 논문을 읽는 방법에 대해서

논문작성법 - 3. 실험계획 세우기

논문작성법 - 3. 실험계획 세우기2

논문작성법 - 3. 실험계획 세우기3

논문작성법 - 4. 데이터 분석 - 엑셀 사용법

논문작성법 - 4. 데이터 분석 - Sigma plot 사용과 SAS 사용법

논문작성법 - 5. Results의 작성

논문작성법 - 6. Introduction/ Discussion 작성논문작성법 - 3. 실험계획 세우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