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

들어가며 어떤 사이트가 생겼다. 지식을 파는 사이트란다. 가입하고 작가 등록을 했다. 경험을 좀 팔고 싶었기 때문이다. 크몽에서도 팔 수 있다는데, 여기가 더 쉬워보여서 여기서 팔기로... 대학원에 진학하기 전 알아봐야 할 것들에 대해서 글을 썼는데, 맨 첫장은 무료로 풀어서 블로그에도 광고 겸 올려 놓으려고 한다. 대학원 가기 전에 대학원 선배들이 참 많았는데, 무얼 물어봐야하는지 내가 뭘 모르는지도 몰라서. 그 좋은 선배들을 그냥 두고 내가 땅바닥에 헤딩하며 알아 낸 것들이 많다. 웹북으로 구체화 시키면서 보니, 이제 갓 스물다섯밖에 안 된 청년에게 대학원 생활은 참 어려웠던 것 같다. 여기저기 함정 투성이였고, 제대로 가르쳐주는 사람도 없었고. 지금 네 상황이 이렇다는 걸 인지하지도 못했고. 그런 사람이 다.. 2020. 8. 6.
잡초방제학 총정리 잡초방제학의 기본 암기 내용이다. 이정도를 암기하고 있으면, 70점 정도의 점수가 나오는 것 같다 (13년 이후 문제 풀면서 시험해본 결과 본인에게는 통했다.). 암기해야하는 내용을 최소화했으며, 더 최소화하기 위한 수업을 만드는 중에 있다. 일단 성질이 급한 사람들이 있을 수 있으니까. 정리본부터 올려 두겠다. 잡초방제학 쌍떡잎 식물과 외떡잎 식물의 차이점 쌍떡잎식물 외떡잎식물 뿌리 곧은뿌리(원뿌리 + 곁뿌리) 수염뿌리 관다발 규칙성있는 배열 규칙성 없는 배열 잎맥 망상맥 나란히맥 떡잎의 수 2개 1개 방동사니과 식물의 특징 : 벼과와 비슷한 점이 있으나 대부분 줄기 횡단면이 삼각형 모양이며 잎혀나 잎귀가 없다는 점으로 구분이 된다. 월년생 잡초의 종류 (겨울잡초) - 9월 10월에 발생, 월동 직후 .. 2020. 8. 6.
식물보호기사 합격률 식물보호기사 합격률이라는 키워드로 유입이 있었더라고요. 재미있는 주제라고 생각해서 며칠간 노력해서 뭘 좀 만들어 봤습니다. 일단 보여드리는 것은 13년부터 19년까지의 필기 합격률입니다. 반타작 조금 못하는 시험이군요. 맹점이 잇는게, 기사시험은 1년에 시험을 4번 봅니다. 그 중 식물보호기사는 1회, 2회, 4회에 필기 시험을 보기 때문에 3번의 시험 평균이 아래 보시는 표인 것입니다. (큐넷에 제공되어 있는 데이터입니다.) 그래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기출문제를 다 풀어보았습니다(문제 풀이 순서는 2019년부터 2013년 순으로 풀었습니다.). 실기는 기출이 없어서 이렇게 해 볼수가 없더군요. 다행이 전 시험 모두 합격권 점수가 나왔고, 이를 바탕으로 먼저 난이도 그래프부터 그려 보았습니다. .. 2020. 8. 5.
이공계 대학원생 되기 - 실험실을 선택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이공계 대학 대학원생 되기 3 : 실험실을 선택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0. intro 1. 이공계 대학원이란 뭘 하는 곳인가? 2. 실험실을 선택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3. 실험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졸업. 2. 실험실을 선택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 논문과 지구용사 안녕하신가!! 바로 시작하겠다. 대학원에 있는 실험실에 들어간다는 것은, 니 공부 니가 알아서 하기 위해서 배우러 가는 곳이다. 라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그 공부란 무엇인지 알아 보자. 알아서 해야 할 공부 말이다. 대학원생이 되려는 당신이 해야 하는 공부는 매우, 거창하다. 당신이 속한 분야에서 당신이 알아낸 것을 되도록이면 많은 사람과 공유하는 것이다. 대학원생이 최종 진화해서 되야 하는 과학자라는 사람들. 그 사람들이 .. 2020.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