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1

식물병리학 각론 - 5강 마지막 각론 시간이다. 이 다음부터는 암기방법에 대한 강의를 하겠다. 그리고 이후에는 식물병리학 전반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고. 그 후에는 기출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은 수목의 병이다. 이 챕터는 외울것도 많고, 문제 출제도 많은 편이다. 수목의 식물병 - 진균 - 모잘록병 참나무모썩음병 (광릉긴나무좀) - 자낭균 : 소나무잎떨림병 낙엽송가지끝마름병 밤나무줄기마름병 벗나무빗자루병 호두나무탄저병 흰가루병 그을음병 - 담자균 : 소나무잎녹병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 불완전균 : 푸사리움가지마름병 소나무잎마름병 - 세균 : 근두암종병 - 파이토플라즈마 (테트라사이클린에 약함) : 대추나무빗자루명 오동나무빗자루병 뽕나무오갈병 - 선충 : 뿌리썩이선충 소나무재선충(북방하늘소, 솔수염하늘소) 그리고 수목의 식.. 2020. 8. 13.
식물병리학 각론 - 4강 오랜만에 식물병리학 각론이다. 먼저 오늘 외워야 할 것부터 알아보자. 과수의 식물병 - 진균 - 자낭균 : 사과갈색무늬병 사과나무 검은별무늬병 사과나무 부란병(알콜향) 포도나무새눈무늬병 복숭아잎말림병 - 담자균 :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향나무 녹병) - 불완전균 : 배나무 검은별무늬병 - 세균 복숭아잎구멍병 사과화상병 외워야 할 양이 많지 않을 뿐더러 문제도 많이 나오지는 않는다. 사과나무 부란병이 그나마 자주 나오는 주제인데, 이 병이 걸린 부위에서 알콜향이 난다는 것만 알고 있으면 된다. 다른것은 잘 나오지 않을 뿐더러 정답지로 나오는 일이 드물다. 하지만 알아 두어야 소거법으로 풀 수 있으므로 이름을 알아두긴 할 것! 하지만, 이 중에서 담자균 쪽은 자주 출제되는 문제인데, 기주교대를 하는 식물병에.. 2020. 8. 12.
논문작성법 - 2. 논문을 찾는 방법 - 구글 스칼라 이용 관련 유튜브 : 고논채널 BioGothesis 과학 논문은 어떻게 쓰는 것인가? 과학 논문을 쓰는 방법을 한번씩 체험해보는 채널입니다 --------------------------------------------------------------------------------------------------------------------------------------- www.youtube.com 2. 논문 찾는 방법 석사 입학을 처음 했을 때, 실험실 선배가 알려준 방법이 있다. 실험실 선배가 혹은 후배가 공부를 하는지 안 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했다. 일단 알고 싶은 사람이 쓰는 컴퓨터에 인터넷 브라우저를 켠다. 그리고 그 브라우저 주소창에 n를 친다. n를 쳤을 때, https://.. 2020. 8. 11.
잡초방제학 암기법 -1 잡초방제학 암기법이다. 양이 많지는 않으나, 외우려면 쉽게 되지는 않는다. 나는 유튜브에 정계원이라는 사람이 기억법을 알려 주는 것을 조금 응용해서 외웠다. 이전에 내가 외우던 방법하고 비슷하기도 하고, 금방 적용이 가능하다. 도트로 그림을 찍어서 이미지로 외울 수 있도록 그림도 점점 올리려고 한다. 이번에는 일단 각자의 머리로 상상해보자. 상상하면서도 외워진다고 한다. 한번 외운다고 되는게 아니로 외운 것을 끄집어 내는 연습을 해야 하는데, 흰 종이에 써보는 연습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 같다. 나중에는 제목만 써 놓고 머릿속에서 쓰게 된다. 암기법 포스팅이 끝나면 기출문제를 풀면서 이 암기만으로 70점 정도가 되는 것을 확인하고, 고득점으로 가기 위한 추가 암기 사항들을 공부해보자. 잡초방제학 쌍떡.. 2020.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