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꾹꾹 눌러담은 대학원 진학전 알아야 할 대학원[完] 이야기9

3. 학위를 받기 위해 해야만 하는 일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학위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해야 하고, 졸업 논문을 제출해야 합니다. 대체로 석사 24학점 박사 36학점 석박통합 60학점 정도로 학점을 취득해야 하고, 과에 따라서 졸업 필수 과목이 정해져 있으므로 입학 후 졸업 요건에 대해서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토익 일정점수 이상이나, 한자 자격증 등의 추가적인 요건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대학원 학사사무실에 가면 자세하게 알 수 있는 안내서가 비치되어 있으므로 하나 가져와서 정독합시다. 그런데 막상 위에 것들보다 더 힘든 일이 있다면 바로 졸업논문을 쓰는 것입니다. 대체적으로 졸업논문은 1. 졸업논문을 쓴다. 2. 심사위원들에게 졸업논문을 돌린다. (석사 2인 박사 3인정도. 진학하는 학교마다 다를 수 있음.) 3. 심사위원들 .. 2020. 8. 6.
2. 누구에게 배워야 할까요? 이제 실험실에 입학했습니다. 그렇다면 누구에게 배워야 할까요? 아마 체계가 조금이라도 잡혀 있는 실험실이라면 사수-부사수 시스템으로 실험실 업무가 돌아갈 것입니다. 이럴 경우 사수의 가르침이 절대적이게 되지만, 실험실에 따라서 개인별로 프로젝트를 맡기거나, 포닥에게 맡기거나 하는 식으로 실험실 업무가 돌아가게 됩니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에게 배우는 것이 가장 유리한 것일까요? 정답은 "최근 발표 논문이 있는 사람, 꾸준한 논문 발표가 있는 사람에게 배우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입니다. 이 전 챕터에서도 말했지만, 과학자는 논문으로 말합니다. 처음 배우러 온 사람의 입장에서 자신을 가르칠 사람을 고를 때에는 논문 발표가 없는 사람한테는 배울 게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러므로 논문 발표가 있는 사람에게.. 2020. 8. 6.
1. 실험실을 골라 봅시다! 그런데 우리가 먼저 해야 할 일은 실험실을 고르는 일입니다. 그 전에 본인의 마음가짐을 봅시다. 먼저 외통수인 경우입니다. 내가 공부하고 싶은 분야는 OOO분야인데 이 분야를 연구하는 실험실은 OO대학교 OO 실험실밖에 없다. 이런 경우라면 이 글을 읽지도 않겠지만,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이 수학을 마치는 것은 적어도 2년 후입니다. 그때는 어떻게 변할 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미래를 너무 좁게 한정짓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은 반드시맨 입니다. 나는 석사과정때 반드시 OOO 연구를 할 것이다 (최신연구분야). 라고 생각하고 생각하신다면. 역시 같은 이유로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몇 년 있으면 어떤 연구가 최신 연구가 될 지 아무도 알 수가 없.. 2020. 8. 6.
0. 대학원 지원. 준비해봅시다! 대학원은 지원때, 면접을 봅니다. 지원자들이 있고, 면접을 보는데요, 이게 아주 공정하게 시험을 쳐서 점수대로 뽑는다거나 하는 문화가 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실험실을 고르고 나면 반드시 그 실험실 담당교수님. 그러니까 지도교수가 될 사람에게 공손하게 연락을 드려야 합니다. 맨 처음에 중소기업이라는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대학원 실험실은 개개 실험실 하나하나가 중소기업입니다. 중소기업에선 사장이 왕이지요. 여기서 왕은 교수고요. 그렇다면 먼저 왕의 구미를 구워삶아놓는것이 가장 우선이겠지요. (어떤 실험실은 면접을 4차에 걸쳐서 보는 곳도 있습니다. 우선 석사과정생들이 면접을 보고 (1차), 박사과정생들이 면접을 보고(2차), 포닥들이 면접을 보고(3차), 마지막이 되서야 지도교수 면접(4차)을 보는.. 2020.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