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81 식물보호기사 문제풀이 2020년 1회 - 10 마지막이다. 시작해보자. 71. 유제, 수화제, 수용제 등의 약제 살포방법 중, 별도의 공기는 주입하지 않으며 약액에 압력을 가하여 미세한 출구로 직접 분사, 살포하는 방법은? 1. 분무법 2. 미스트법 3. 스프링쿨러법 4. 폼스프레이법 답: 1번 분무법에 대한 설명이다. 안개처럼 만들면 미스트법, 스프링쿨러 이용시 스프링쿨러법, 거품을 이용하면 폼스프레이 법으로 단어 안에 답이 다 있는 쉬운 문제이다. 각 방법들을 한번정도 읽어보면 되는 문제이다. 72.농약의 잔류허용기준 (MRL)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최대무작용량 2. 안전계수 3. 농약살포 횟수 4. 1일 섭취 허용량 답: 3번 농약 살포 횟수는 잔류허용기준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다. 73. 재배면적이 10ha 인 어떤 농지에서 펜.. 2020. 9. 1. 식물보호기사 문제풀이 2020년 1회 -9 제일 어려운 과목인 농약학이다. 나도 목표점수인 60점을 겨우 맞았을만큼 기본 지식만으로는 버거운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시작해보자. 61. 95%인 원제 2kg 으로 2% 분제를 만들려 할 때, 소요되는 증량제의 양은? 1. 73 2. 83 3. 93 4. 103 답 3번 계산 문제이다. 계산 문제를 푸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따로 하겠다. 이 문제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95%의 원제이므로 2kg의 원제속에 있는 순수한 농약의 양은 2kg X 0.95 = 1.9 kg 이다. 이 1.9kg 이 들어가서 2%의 약이 되면 되는 것이므로 1.9kg/증량제 전체의 양 X 100 = 2 가 된다. 계산하면 증량제 전체의 양은 증량제 전체의 양 = 95kg 이 된다. 여기서 95kg은 원제의 양 2k.. 2020. 9. 1. 논문작성법 - 6. Introduction/ Discussion 작성 관련 유튜브 : 고논채널 BioGothesis 과학 논문은 어떻게 쓰는 것인가? 과학 논문을 쓰는 방법을 한번씩 체험해보는 채널입니다 --------------------------------------------------------------------------------------------------------------------------------------- www.youtube.com 드디어 여기까지 왔다. 여기서는 Introduction/ Discussion 을 공식에 맞추어 작성할 것이다. 아무래도 처음 작성하는 논문이고, 논문쓰기 체험 이므로 '이런 말이 들어간다' 는 식의 예제와 예문을 이용해서 채워 나갈 것이다. 나중에 진짜 본인의 논문에는 조금 더 자유롭게 쓰는 것이 가능할 .. 2020. 8. 26. 논문작성법 - 5. Results의 작성 관련 유튜브 : 고논채널 BioGothesis 과학 논문은 어떻게 쓰는 것인가? 과학 논문을 쓰는 방법을 한번씩 체험해보는 채널입니다 --------------------------------------------------------------------------------------------------------------------------------------- www.youtube.com 이제 드디어 작성하기 논문을 작성하기 시작하겠다. 어려운 길을 돌아돌아왔다. 이제 쓰기 시작하면 순식간이다. 5. Results 작성 위에서 데이터 작성과 분석을 마친 후에 우리는 그 Result를 독자들에게 객관적으로 전달해야 한다. Result작성은 표를 그대로 글로 표현해주는 한편, 작성자가 강조하고.. 2020. 8. 2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