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 어려운 과목인 농약학이다.
나도 목표점수인 60점을 겨우 맞았을만큼 기본 지식만으로는 버거운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시작해보자.
61. 95%인 원제 2kg 으로 2% 분제를 만들려 할 때, 소요되는 증량제의 양은?
1. 73
2. 83
3. 93
4. 103
답 3번
계산 문제이다. 계산 문제를 푸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따로 하겠다.
이 문제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95%의 원제이므로 2kg의 원제속에 있는 순수한 농약의 양은
2kg X 0.95 = 1.9 kg 이다.
이 1.9kg 이 들어가서 2%의 약이 되면 되는 것이므로
1.9kg/증량제 전체의 양 X 100 = 2
가 된다.
계산하면 증량제 전체의 양은
증량제 전체의 양 = 95kg 이 된다.
여기서 95kg은 원제의 양 2kg을 포함한 양이 되므로 2kg을 빼면 순수한 증량제의 양은 93kg이 된다.
62.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작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살충작용이 선택적이다.
2.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가장 강하다.
3. 작용범위가 넓고 약해가 적다.
4. 식물체에 대한 침투력이 있다.
답 2번
인축에 대한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유기염소계 농약이다. DDT같은 것을 말한다.
63. 페녹시계로서 고농도에서는 광엽선택제초성의 제초제이지만 낮은 농도에선 생장촉진, 도복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농약은?
1. pyrethrin
2. 2,4-D
3. DDT
4. BHC
답: 2번
잡초방제학에서 알아둔 내용이다. 2,4-D는 페녹시계 이고, 제초제이지만, 낮은 농도에선 호르몬같은 역할을 한다. 작용 기작이 호르몬 기작이다. 빈출 내용이므로 꼭 숙지해두자.
64. 농약관리법령상 농약이 아닌 것은?
1. 살충제
2. 전착제
3. 기피제
4. 위생해충제
답: 4번
농약관리법령에 대한 문제가 낮은 비중이지만 꾸준한 비중으로 나온다. 공부량은 엄청나게 많은데 비해 효율이 안 나오므로 궂이 공부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65. 살충제 농약의 작용점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원형질독 - 유기수은제
2. 피부독 - 기계유유제
3. 호흡독 - 청산가스
4. 근육독 - 피레스린
답: 4번
근육독은 데리스제이다. 이 또한 해충방제학에서 나오는 내용이기도 하지만, 어려운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소거법으로 푸는 것이 더 유리할지도 모르는 문제이다.
66. 급성 경구독성이 가장 강한 농약은?
1. Zineb 제
2. Parathion 제
3. DDVP 제
4. Diazinon 제
답: 2번
이 역시 어려운 문제이다. 농약의 특징을 하나하나 알기 힘들다.
67. 교차저항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한 작용기작을 가진 약제군 사이에서 그 중 1개의 약제에 저항성을 지니게 된 균은 다른 약제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가진다.
2. 작용점이 여러개인 약제에 대하여 2가지 이상의 작용점에 저항을 획득하면 그 균은 교차저항성을 획득하였다고 한다.
3. 베노밀과 톱신-M 의 경우 화학구조가 완전히 다르기 떄문에 저항성 획득도 다른 기작을 따른다.
4. 저항성균이 한 지역에서 발생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되었을 떄, 이동된 지역에서도 저항성을 유지하는 것을 교차저항성이라 한다.
답: 1번
교차저항성의 정의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지 묻는 문제이다. 1번이 맞는 지문이고 나머지는 아니다.
68. 기계유유제의 불포화탄화수소의 양을 표시하는 값으로 정제도와 관계있는 물리적 성질은?
1. 점도
2. 비등점
3. 술폰가
4. 응고
답: 3번
역시 어려운 문제이다.
해설 불가. 암기.
69. 피리딘계 (4급 암모늄계) 제초제는?
1. Paraquat
2. Oxidiazon
3. Butachlor
4. Chlornitrofen
답: 1번
이 역시 어려운 문제이다.
암기형.
70. 비중이 1.15인 이소푸로치오란 유제(50%) 100ml 로 0.05% 살포액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은 몇 L 인가?
1. 104.9
2. 114.9
3. 124.9
4. 110.5
답: 2번
나중에 농도 구하는 문제에 대한 포스팅을 따로 하겠다.
농약학에서는 농도 구하는 문제가 몇 문제씩 나오는데, 암기형을 놓친다고 했을 떄, 농도 문제도 틀리면 40점 이하의 점수를 받을 확률이 높아지거나, 60점을 못 넘어서 시험 통과에 부담이 생기게 되므로 농도 구하는 문제는 필히 다 맞도록 해야 한다.
비중 = 무게/부피 를 말한다.
물은 비중이 1이고, 이소푸로치오란은 비중이 1.15 이므로 50ml 의 이소푸로치오란의 무게는 57.5g 이다.
57.5g으로 0.05%의 살포액을 만들어야 하므로
57.5/넣어야 하는 전체 물 X 100 = 0.05
가 됩니다.
여기서 계산하면
넣어야 하는 전체 물 = 115000 g이 됩니다.
처음에 물도 50g이 있었으므로 빼주면, 114950g 이 되고, 물의 비중은 1이므로 114950ml가 되며 단위를 L 로 바꾸면
114.95L 가 됩니다. 소숫점 두번째 자리는 문제에서 버리는지, 가장 가까운 답은 114.5 L 가 됩니다.
농약학은 쉽지 않습니다.
계산 문제는 반드시 다 맞아야 합니다. 신기한 건 그렇다고 공부가 어려운건 아니란 겁니다. 왜냐하면 식물병리학, 해충방제학, 잡초방제학에서 겹치는 내용이 많이 나오기 때문이지요.
1.15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1회 식물보호기사 문제 풀이 - 1과목 식물병리학 (1) | 2020.09.14 |
---|---|
식물보호기사 문제풀이 2020년 1회 - 10 (1) | 2020.09.01 |
식물보호기사 기출문제 풀이 (2020년 1회-8) (0) | 2020.08.24 |
식물보호기사 기출문제 풀이 (2020년 1회-7) (0) | 2020.08.24 |
식물보호기사 기출문제 풀이 (2020년 1회-6) (1) | 2020.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