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

식물보호기사 문제풀이 2020년 1회 - 10

by Gothesis 2020. 9. 1.
반응형

마지막이다. 시작해보자.

71. 유제, 수화제, 수용제 등의 약제 살포방법 중, 별도의 공기는 주입하지 않으며 약액에 압력을 가하여 미세한 출구로 직접 분사, 살포하는 방법은?
1. 분무법
2. 미스트법
3. 스프링쿨러법
4. 폼스프레이법

답: 1번

분무법에 대한 설명이다. 안개처럼 만들면 미스트법, 스프링쿨러 이용시 스프링쿨러법, 거품을 이용하면 폼스프레이 법으로 단어 안에 답이 다 있는 쉬운 문제이다. 각 방법들을 한번정도 읽어보면 되는 문제이다.

72.농약의 잔류허용기준 (MRL)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최대무작용량
2. 안전계수
3. 농약살포 횟수
4. 1일 섭취 허용량

답: 3번

농약 살포 횟수는 잔류허용기준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다.

73. 재배면적이 10ha 인 어떤 농지에서 펜티온 유제 50%를 1000배로 희석하여 10a 당 8말의 살포량으로 방제하려고 한다. 펜티온 유제는 500ml 단위로 몇 병을 구입하여야 하는가? (단 1말은 18L이다)
1. 21병
2. 25병
3. 29병
4. 35병

답: 3번

계산문제를 꽈배기마냥 꽈 놓은 문제이다.
먼저 매우 치사하게 꼬아 놓은 것인데, 펜티온 유제 50%라는 말이 그것이다. 유제 자체를 희석하는 것이므로 병에도 50% 팬티온 유제가 담긴 것으로 생각하여야 한다. 이 50%에 대한것은 계산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매우 자주 나오는 꽈배기 형식은 제곱미터와 a, ha를 구분하는 것인데 다음과 같다.

1ha = 100a = 10000제곱미터

이런 관계가 있다. 꼭 알아두어야 한다. 자주 나온다.
그러면 재배면적 10ha는 1000a 라고 할 수 있겠다. 10 a당 8말을 뿌린다고 했으므로
800말이 필요하다.
1말은 18L이므로
14400L 가 필요하게 된다. 1000배 희석한 걸 뿌리게 되므로
14.4L의 펜티온 유제가 필요하다. 1병에는 500ml 만 들어있으므로
28.8개가 필요한데 반올림하여 29개를 구입하여야 한다.

74. 조제 직후 보르도액의 구리 용해도가 0에 가까울 때의 pH는?
1. pH 12.4
2. pH11.3
3. pH10.4
4. pH 9.3

답: 1번

암기 문제이다. 외우자.

75. Zirma의 구조식은?

답: 1번

지람의 구조식은 자주 물어보므로, 숙지해 두자.

76. 농약의 살포방법 중 살포액의 농도가 높고 정밀한 액적조절살포가 필요한 살포방법은?
1. 분입제 살포
2. 공중액제 살포
3. 입제 살포
4. 수면 작용

답: 2번

공중액제 살포는 살포액의 농도가 높고, 농도가 높아서 정밀한 액적조절살포가 필요하다.
액적조절살포에 실패할 경우 심각한 약해가 나기 때문이다.

77번. 헤테로옥신이라고도 하며 무색 바늘모양의 결정으로 과수, 화초 등의 삽목 때 발근촉진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1. 포스톤
3. 지베렐린
4. 베타-인돌초산
5. 카시네린

답: 베타-인돌초산

베타-인돌초산은 옥신의 역할을 한다. 암기해야만 하는 어려운 내용이다.

78. 액상시용제의 물리적 특성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유화성과 토분성
2. 수화성과 비산성
3. 습전성과 현수성
4. 분산성과 부착성

답: 3번

액상시용제이므로 액체라고 봐야 한다.
액체라고 봤을 경우 토분성, 비산성, 분산성과 같이 알갱이와 관련된 특징이 제거되어 답이 3번.

79. 약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약해란 농약에 의해서 식물의 정상적인 생육을 저해하는 것이다.
2. 약해라고 해서 전부 작물의 수확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고, 환경조건에 따라 회복되는 일시적 약해도 있다.
3. 살충제의 약해발생은 유기인계 계통이 많다.
4. 만성적인 약해는 약제를 살포한지 1주일 이내에 나타난다.

답: 4번

만성적인 약해는 더 늦게 나타나며 1주일 이내에 나타나는 것은 급성적인 약해이다.
만성적인 약해는 꽃이 피지 않는다던가, 열매에 이상이 생긴다던가 하는 것이 포함된다.

80. 제초제 DCMU제 (Diur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요소계 제초제이다.
2. 토양처리효과가 크다.
3.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은 낮다.
4. 호르몬형 접촉형 제초제이다.

답: 4번

제초제에서 외운 것을 이용해 보자.
~론 으로 끝나는 것은 요소계 제초제였다. 1번 제거
요소계 제초는 토양처리제초제였다. 2번 제거
토양처리제초제 중 호르몬형 접촉형제초제는 없었다. 4번 정답.

2020년 1회를 마쳤습니다. 역시 농약학이 가장 어렵습니다.
기본 암기사항 강의에 집중하고, 문제풀이는 이후에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건승을 빕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