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유튜브 : 고논채널
BioGothesis
과학 논문은 어떻게 쓰는 것인가? 과학 논문을 쓰는 방법을 한번씩 체험해보는 채널입니다 ---------------------------------------------------------------------------------------------------------------------------------------
www.youtube.com
고논 채널이라고 채널을 만들었는데
관리를 할 수가 없었다.
먹고 살아야 해서.
그런데 뭐 여러가지 포기를 하다 보니.
요새 관리할 시간이 생겼는데
자신을 고등학생이라고 주장하는 한 사람이 내 영상이 좋단다.
그리고 질문도 했는데.
대답을 먼저 해 줘야겠다. 기특해서.
일단 고등학생의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그림이 잘 안보여서
논문을 준비하는 고등학생입니다. 좋은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혹시 논문의 양식에도 어떤것들이 있는지 그림이나 참고문헌등의 표시, 초록은 어떻게 써야하는지 그런부분들도 챕터별로 자세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요렇게 물어봤고.
대답을 해 주겠다.
논문의 양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크게 나누면
리뷰
레터,레포트
숏커뮤니케이션
풀페이퍼
이렇게 4개로 나뉜다.
물론 분야에따라 더 세분화되는 경우도 있다.
리포트라는 게 낄 수도 있고, 다른게 들어가기도 하는데, 나눠보면 다 저 안에 든다.
과학 논문은 저렇게 4개 정도로 이루어진다.
우선 리뷰라 함은
한 분야에 이름있는 과학자, 혹은 자신이 이름있다고 생각하는 과학자가 대략 10년정도의 업적들을 모아서 정리해서 쓴 논문이다.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어떤 분야에 대해서 연구를 처음 시작한다면 최근에 나온 리뷰 여러개를 모아 읽으면 그 분야가 어떤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지 조금은 맛볼 수 있다.
그리고 레터 숏커뮤니케이션 풀페이퍼 이건. 먼저 알아둬야 할 게 있다.
풀 페이퍼가 되려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들이 있다.
바로
인트로
재료 및 방법
결과
토의
인용
요 5가지다
그런데 여기서 인용은 절대로 생략될 수 없다.
그런데 인트로와 재료 및 방법은 생략이 가능하다. 둘이 합쳐지는 경우가 있거든.
그리고 결과가 극단적으로 짧은 경우도 존재한다. 그리고 어떤 분야에서는 실험 방법이 항상 동일하거나 너무 반복적이기 때문에 재료 및 방법이 항상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볼까? 새로운 식물병을 발견하는 경우나 신종을 발견하는 경우가 그렇다. 새로운 식물병을 발견하려고 하면 유전자 시퀀스를 보고 (18s RNA, ITS, EF등의), 코흐의 법칙 (1. 병반에서 병 분리가 가능하다. 2. 그 병으로 식물에 같은 병을 낸다. 3. 병을 낸 식물에서 병 분리가 가능해야 한다. )을 맞춰보면 된다. 이건 그 분야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고, 계속 언급하는게 좀... 민망할 정도이다.
그럼 다시 돌아가보자.
레터는 내가 지금 엄청난 걸 발견한 상태다.
그런데 실험 반복수도 부족하고, 인트로 쓰기도 부족하고 결과도 잘 모르겠다.
그런데 일단 엄청난 걸 발견한 것 같다. 실험 자체 반복수는 부족하더라도. 간접적인 반복수가 많거나 (농도가 미세하게 다른 반복이 있다든지 하는 식으로), 과학적으로 굉장히 유의미한 결과라고 생각이 될 때 바로 출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트로가 매우 빈약하고 토의도 거의 없다시피한다. 오직 재료 및 방법과 결과만 가지고 내는 논문이다.
그리고 이 비슷한 것으로 레포트라고 있는데 이것도 마찬가지이지만 이건 좀 다르다.
이건 방법을 누구나 다 알고 있어서 방법을 쓸 필요도 인트로를 쓸 필요도 토의를 쓸 필요도 없는 것이다. 그저 결과만이 전부인 것.
그리고 숏 커뮤니케이션
이건 완벽한 논문의 모양을 하고 있지만 결과가 많지 않은 것이다.
제대로 된 풀페이퍼 1개는 대체로 5개 정도의 표와 그림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모든 실험이 그렇게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는 힘들다. 어떤 실험은 표 1개만으로 어떤 실험은 그림 1개로 끝날 경우도 있는 법이다. 그리고 그것만으로 충분한 과학적 의미를 가질 수도 있는 것이고.
예를 들면 내가 썼던 논문중에 하나가 그랬다.
한약재를 곤충에 처리를 했는데 곤충이 한약재가 싫어서 도망을 갔다.
그런데 이 데이터를 잘 살펴보니까 한약재마다 곤충의 반응이 다르다.
창포 추출물을 처리할 시 화랑곡나방 유충은 창포 추출물을 선호해서 유인효과가 있었던 반면
쌀바구미는 회피했다.
다른 논문을 아무리 봐도 이런 결과는 없었고 나는 딱 표 2개로 이것을 숏 커뮤니케이션에 내서 논문개제에 성공했다.
이런게 숏 커뮤니케이션이다. 주로 인트로와 재료 및 방법이 합쳐져 있거나 재료 및 방법과 결과가 합쳐져 있거나 인트로와 인용문을 제외한 모두가 합쳐져 있어서 풀 페이퍼와 모양이 좀 다르다. 그리고 짧다.
풀 페이퍼는 앞에 언급한 모든것을 다 갖추고 있으면 풀 페이퍼다.
요약문 -인트로 - 재료 및 방법 - 결과 - 토의 - 인용
참고문헌을 쓰는 법
참고문헌을 쓰는 법은 저널마다 다른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학교에 제출할 논문에 좀 있어보이게 내려면 구글 스칼라에 가도록 하자.
나 같은 경우에는 구글 스칼라에서 pepper 을 검색했다.
그리고 나오는 논문.
그러면 따옴표에 마우스를 올려보자.
그리고 클릭하면
이렇게 인용이라고 나온다.
인용하는 방식 중 대표적인 MLA APA ISO690 방식이 나온 것이다.
나는 저자의 이름을 다 쓰는 MLA를 선호한다.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면 된다.
실제로 실험실에서 논문을 쓰는 경우에는 Endnote를 쓰는데 이 사용방법은 나중에 다루도록 하겠다. 고등학생의 범위를 벗어나는 짓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모든 논문을 다운로드 받아야 할 수 있는 작업인데, 그러려면 일단 저널에서 논문 다운로드 라이센스를 구매한 대학에 가야 한다. 그런데 고등학생이니까 대학에 안 갔으니 논문을 다운로드 받을 수는 없고... 그런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암흑이지만 빛과 같은 방법이 있긴 한데 그걸 가르치기엔 내가 좀.... 사사사삿 사이헙
사이헙
재채기가 나네... 쓸데없이 재채기 소리 링크를 누르거나,
영어로 구글에 재채기 소리를 검색해 보는 사람은 없을거라고 생각한다.
여기까지
그리고 마지막 질문
초록은 어떻게 써야 하나요?
초록은 요약문이다.
논문을 다 쓰고 나서 쓰는 건데
초록은 쓰는게 아니다 사실 다 쓴 논문을 복붙하는거지.
왜냐면 논문이 다 쓰여있다는 말은 인트로 - 결과 - 토의가 모두 마무리되어있다는 말이다.
내가 대학에서 애들을 많이많이 가르치면서 이런 질문을 많이많이 받았는데
나한테 배운 애들한테는 못 들어봤다.
왜냐고?
나한테 배운 애들은 초록부터 안 쓰거든
이 질문을 했다면 지금 초록부터 쓰고 있는거 같은데
강의 다시 들어보세요. 과학 논문은 그리고 그 어떤 논문이라도 절대 초록부터 쓸 수가 없습니다. 아니 쓸 수야 있겠지. 이건 마치 똥싸고 똥꼬 닦는게 아니고 똥꼬 먼저 닦고 똥싸는 뭐 그런거....
그리고 초록은 쓰는게 아니에요.
인트로에서 조금
결과에서 조금
토의에서 조금
떼다가 붙이는 겁니다.
쓰긴 해야겠지 말이 되도록 잘 붙이는 과정을 거쳐야 하니까...
초록을 새로 쓰신다고요? 세세한것까지 다 챙기면서 반복 또 반복을 하는 아주 훌륭한 과학자시던지 아니면 지금 흰 종이에 초록부터 쓰고 있는거겠지요...
초록이라는 말 자체가 자신이 쓴 논문의 요약본이기 때문에 논문에 있는 내용이 나와야 합니다. 그런데 초록부터 쓰면 초록에는 있는 내용이 논문에는 없는 현상이 벌어져요. 주로 국내 학회가서 발표 포스터들을 보면 이런 현상을 찾을 수 있습니다.
거두절미하고 초록에는 복붙이 아니더라도 논문 내용에 중복되는 말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초록을 어떻게 쓰냐고요?
일단 논문을 다 쓰고 다 쓴 논문에서 인트로, 결론, 토의 부분의 문장을 떼어다가 문맥에 맞게 연결하세요.
가장 헷갈리지않고 정직하며 빠르게 초록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여기까지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건승을 빕니다. 질문이 있다면 또 해도 됩니다.
'논문작성법[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작성법 - 2. 논문을 찾는 방법 - 구글 스칼라 이용 (0) | 2020.08.11 |
---|---|
논문작성법 - 1-2. 논문을 쓰는 이유/ 1-3. 1저자의 요건/1-4. 과제 (0) | 2020.07.28 |
논문작성법 - 1-1. 논문의 구성? (6) | 2020.07.28 |
논문작성법 - 1. 논문이란? (0) | 2020.07.27 |
논문작성법 - 들어가며 (2)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