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병리학

식물병리학 각론 1강

by Gothesis 2020. 7. 24.
반응형

식물병리학

타 과목, 즉 해충학과 잡초방제학에서 해충과 잡초를 가져가므로 식물병리학이라 하면

주로 진균, 세균, 파이토플라즈마, 바이러스, 바이로이드에 의한 병을 가리킨다.

여기서 진균이 제일 크고 순서대로 작아진다.

이정도 알아 두고...

 

식물병리학 각론부터 가겠다.

다른 책들 펴면 개론 하고 각론 한다. 나는 그게 지겨워서... 어차피 이거 봐도 책 하나씩 있을 거고 그것도 볼 거 아닌가? 누가 블로그 믿고 공부를 해???

여튼..

중요한 건.

병이 뭐가 나는지를 외우면 친근해지고, 친근해지면 공부가 쉬워진다.

이걸 하루에 다 외울 생각하지 말고 하루에 한 챕터씩 외우면 일주일이면 다 외운다.

쉽게 암기하는 방법도 얹어 두겠다.

 

!잠깐 딴소리

잠깐 딴소리를 하자면, 난 암기법에 두문자든 연상암기든 다 좋다고 생각하는데

두문자는 잘 안 되더라. 주로 연상암기기법을 좋아한다. 그림을 연상해서 머릿속에서 끄집어내는 방법이다. 그림과 함께 연상하면 더 좋다. 최대한 알맞은 그림을 넣어두겠다. 

 

우리나라의 작물은

벼, 보리 및 기타작물, 채소, 과수, 수목

이렇게 나뉜다.

왜 이렇게 나뉘냐?

궁금할 수 있다. 그리고 뭐든 이유가 있으면 더 잘 외워진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주요한 작물은 벼다.

그래서 벼가 한 파트를 다 먹는거다.

 

그리고 그 이외에 중요한 것은 아무래도 벼를 대체할 수 있는 식량작물이다.

그리고 전쟁나면 꼭 필요한 애들. 예를들면 밀 보리 담배 같은 애들. 그래서 얘들만 모아서 한 파트가 된다.

 

그리고 이제 있으면 좋고 없어도 되는 애들 그런데 좀 더 중요한 순으로 하면

채소

 

그 다음이 과수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아예 청이 다르다.

농진청 삼림청

 

그래서 수목 

이렇게 나뉘는 것이다.

오늘은 벼만 해보자.

 

아까전에 크기순서 한번 외워보자

진균 세균 파이토플라즈마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그런데 파이토플라즈마와 바이로이드는 잘 안나온다. 일단은

 

그럼

진균 세균 바이러스

그럼 이미지를 만들어보자.

 

 

 

 

진라면에 세균이 있는데 바 아이스크림을 들고 있다.

크기도 순서가 이와 같다. 진균이 제일 크고 그다음이 세균 그다음이 바이러스다.

여기까지 외우면

 

진균 안에 또 있다.

조균 자낭균 담자균 불완전균

이게 엄청 중요한데 어차피 계속 반복될것이기 때문에 외우는 방법이 딱히 없다.

조균은 머릿속에 조권이미지를 가져오자

 

 

왜냐면, 조균이 저렇기 때문이다.

자낭균 담자균 불완전균 혼자 움직이는 애는 없다.

근데 조균은 유주자라는 것을 낸다. 이놈은 포자 끝에 프로펠러가 달려있다. 그래서 움직인다. 주로 물속에서 움직이니까 수영복을입고 촐싹대는 조권. 딱이다. 그리고 추우면 더 나온다. 다시 그림을 보자. 딱이다.

 

자낭균은 그냥 흔한 곰팡이다. 우리가 보는 곰팡이는 거의 자낭균이라고 보면 된다.

담자균은 특징이 기주교대라는걸 한다. 여기갔다가 저기갔다가 하는 애다.

불완전균은 설명을 하자면 완전세대를 못 찾아낸 균인데, 문제 풀다보면 알게 되는 것이고.

사람이 포자의 종류를 다 못 찾아낸 애다.

 

여기까지 두고.

 

벼의 병원균 - 진균 - 모썩음병

                         - 조균 : 모잘록병

                         - 자낭균 : 깨씨무늬병 키다리병 흰가루병                                       이삭누룩병

                         - 담자균 : 잎집무늬마름병

                         - 불완전균 : 도열병

                - 세균 - 흰잎마름병 알마름병

                - 바이러스 - 줄무늬마름병 오갈병 검은오갈병

 

이걸 외워야한다. 설명을 해 주겠다

모썩음병은 아무 곰팡이나 들어가면 벼의 모가 썩는다. 종류도 많다. 암기의 중요도가 무척 떨어진다. 즉 답지로 나오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하지만 모잘록병이랑 헷갈릴 수 있으니까 알아두긴 해야한다. 

 

벼에서 제일 문제가 되는 병은 다음과 같다

키다리병

잎집무늬마름병

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마름병 오갈병 검은오갈병

 

그래서 이 놈들은 좀 깊이 알아둬야 한다.

 

키다리병 : 벼의 키가 쑤욱 자란다. 왜냐? 병원균이 벼 안에서 지베렐린이라는 호르몬을 만들어 버린다. 지베렐린이라는 호르몬도 이 키다리병때문에 발견했으니 꼭 알아두자. 그리고 포자 모양도 알아둬야 하는데 초승달 모양이다. 

 

잎집무늬병 : 벼는 잎혀 잎귀 잎집 이런게 다 있다. 이 균은 겨울내 균핵이라는 걸 만들어서 겨울을 나는데, 봄에 논에 물을 대면 이 균핵이 둥둥 떠올라 벼에 병을 낸다. 

 

도열병 : 벼에 병을 정말 심각하게 낸다. 포자 모양을 서양배 모양이다.

 

흰잎마름병 : 세균성 병이다 잎이 하얗게 된다. 물에서 전염이 잘 일어난다.

 

줄무늬마름병 : 흰잎마름병이랑 헷갈린다. 애멸구에 의해서 전반된다. 

 

오갈병 : 끝동매미충 번개매미충에 의해 전반된다.

 

검은오갈병 : 애멸구에 의해서 전반된다.

 

이렇게가 특징이다. 이 병들은 답으로 잘 나오고 물어보는게 매번 비슷하므로 이정도를 알아두는게 최소한알면서 문제를 다 맞을수 있는 비법이다. 

 

암기 비법은 딱히 없다. 열심히 외우자.

비법에 대해서는 점점 업데이트하겠다. 오늘은 벼까지!

반응형

'식물병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병리학 각론 - 5강  (2) 2020.08.13
식물병리학 각론 - 4강  (2) 2020.08.12
식물병리학 각론 3강  (2) 2020.07.24
식물병리학 각론 2강  (3) 2020.07.24
식물보호기사 강의 - 인트로  (0) 2020.07.24